지난 10월 21일, 정평중학교에서 열린 <정평제>는 학생들의 마음을 다시 하나로 모았다. 각 반은 축제 전날까지 주제에 맞게 교실을 꾸몄고, 축제 당일에는 다른 반을 돌아다니며 축제를 즐겼다. 전 학년 모두가 즐겁게 즐겼던 축제였다. 1-1 사진관 1-2 보드게임부스 1-3 방탈출 1-4 점집 1-5 포토존 1-6 테마 오락실 1-7 마스크 꾸미기 페이스 페인팅 1-8 귀신의 집 방탈출 1-9 미로 귀신의 집 1-10 미션 임파서블 1-11 랜덤 미팅 1-12 방탈출 2-1 타로 2-2 음악카페 2-3 정평랜드 2-4 휴게소 사진관 2-5 로또 2-6 귀신의 집 2-7 게임방 2-8 페이스페인
지난 21일, 정평중학교에서는 <체육한마당>과 더불어 학교 생활의 꽃으로 꼽히는 축제 <정평제>가 3년 만에 개최되었다. <정평제>는 전교생 모두가 함께 하는 축제로, 각 학급은 체험 부스를 운영함과 동시에 타 학급의 부스를 체험을 했다. 또 오후에는 친구들의 공연도 관람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축제 전날부터 부스 홍보 포스터를 제작해, 개인 SNS에 개시했다. 또 포스트잇에 부스 홍보 문구를 작성해, 타 학급의 게시판에 게시했다. 오전에는 각 학급이 심혈을 기울여 준비한 부스를 체험하는 시간이었다. 학급마다 특색있는 부스가 준비되어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사진관 △게임 △방탈출 △타로 △클럽 등이 있었다. 학급 수가 많은 만큼 장르가 겹치기도 했지만, 각 학급 마다의 개성이 있어서 지루하지 않았다. 부스를 체험하기 위해서는 지급받은 쿠폰을 부스에 제출하고, 스탬프 판에 해당 학급의 스탬프를 받으면 체험이 가능했다. 총 35 부스 중 8개 이상의 부스를 체험하고 스탬프를 받았다면, 오후에 진행된 공연에서 경품 당첨을 기대해볼 수 있었다. 부스체험이 종료되고, 오후에는 학생들의 공연이 진행됐다. 공연에 참가한 학생들은 '그대에게
지난 21일, 정평중학교는 <정평제>가 개최되었다. 1~4교시는 각 반에서 준비한 부스를 구경하고 체험을 했고, 5~6교시는 실내 체육관에서 진행된 무대 공연을 관람했다. 전교생이 함께 하는 큰 행사여서 매우 복잡하고 혼잡할 줄 알았는데, 학생들 모두 질서를 잘 지켜주어 큰 사고없이 진행되었다. 각 반은 다양한 부스들을 준비했는데, 대표적으로 △방탈출 △보드게임 △클럽 등이 있었다. 매우 열심히 준비한 모습이 보였고, 학생들도 재밌게 즐겼다. 또, 부스를 돌아다니면서 체험 스탬프를 8개 이상 모으면, 추첨을 통해 상품을 주는 이벤트도 진행되었다. 4~5교시에 진행된 공연에서는 '이러면 안될거 아는데 너 앞에만 서면 나락', 'Bye bye my blue', '새삥', 'Rush hour', 'After like', 'Love dive' 등... 대중성 있고 신나는 노래들과 댄스를 공연했다. 중학생이라고 믿기 힘든 퀄리티 있는 실력들을 보여 주었고, 많은 학생들도 함께 즐겼다. 이번 축제는 코로나19 때문에 정평중학교 모든 학생에게 처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인 것 같지 않게 준비했고, 열심히 해주었다. 또 모두가 재미있게 즐겼다. 내년, 그
6월 7일, 경기인터넷신문에 ‘용인교육지원청 정평중학교 탄소중립 '미라클 정평'.... 다 함께 실천하는 에코프로젝트’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이 기사에는 △정평중학교에서 실천한 1교실 1반려식물 △잔반제로 챌린지 △명상의 숲의 활동 등이 소개되었다. 또 '학생들은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고 환경보호를 실천해 볼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이 되었을 것이고, 지구의 환경을 살리려는 정평중학교 학생들의 노력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라고 덧붙여 있었다. 정평중학교의 에코프로젝트를 보고, 앞으로 새로운 환경사랑 활동이 더 많이 나올 것같다. 학생들은 앞으로도 환경 이벤트에 잘 참여해주길 바라며, 기자들은 정평중학교의 노력을 더 멀리 전파해주길 바란다. 지구의 환경을 살리기 위한 탄소중립, 시범학교 정평중학교의 노력은 계속 될 것이다.
요즘 정평중학교에서는 급식 잔반 줄이기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이 캠페인은 잔반을 줄임으로, 탄소 중립 활동을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캠페인의 방법은 잔반을 남기지 않고 급식을 다 먹었을 때, '급식스티커'를 주는 것이다. 이 스티커를 학급에 비치된 스티커 판에 붙이는데, 매달 일등 반에게 시상을 한다. 캠페인 시행 한 달이 넘어가는 지금 시점에서, 잔반 줄이기 캠페인이 어떤 효과를 내고 있으며, 급식 스티커 이외에도 잔반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민준 학생(1학년 3반) : “현재 학교에서 탄소 중립 프로젝트로 급식 스티커를 모으는 활동을 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 활동이 탄소 중립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잔반을 왜 남기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원인분석과 해결방안을 찾아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습니다.” △고태율 학생(1학년 10반) : “잔반 제로 캠페인의 목적인, 잔반 줄이기는 성공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학교에서 나오는 잔반들이 얼마나 많은지?, 이들이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교육하거나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재원 학생(1학년 9반) : "알레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