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는 24절기 가운데, 스물 두 번째 절기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고 한다. 동지는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북반구 기준으로, 태양이 가장 남쪽에 낮게 뜨는 날이다.

'동지'는 예로부터 작은 설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한 날이었다. 이 날에는 다양한 풍습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동지첨지’와 ‘동지고사’다.
'동지첨지'는 동지에 팥죽을 먹는 것을 일컫는 말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먹는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동지는 밤이 제일 길고 음기가 강하기 때문에, 귀신이 나오기 쉬운 날이라고 여겼다. 귀신을 막기 위해서는, 색이 붉어 양색이라고 여겨지는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집안 곳곳에 뿌리고 고사를 지냈는데, 이를 '동지고사'라고 한다.
동짓날에 먹는 음식으로는, '팥죽'과 '전약'이 있다.
'팥죽'은 귀신을 쫒기 위해 집안 곳곳에 뿌리기도 하고. 조상에게 제사도 지내고, 가족끼리 나누어 먹는다. 팥죽에는 동글동글하게 빚은 새알심을 넣었는데, 이 때, 나이만큼 먹는다.
'전약'은 요즘 가정에서는 잘 요리하지 않는 음식이다. 쇠가죽으로 만든 아교를 물에 녹이고, 씨를 뺀 대추, 마른 생강, 계피, 정향, 후추 등을 곱게 가루내어 꿀과 함께 넣고 푹 끓인 다음, 그릇에 담아 굳혀서 만드는 음식이다. 조선시대에는 내의원에서 만들어, 동지 절식으로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우리 조상들은 겨울철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서, 이런 음식들을 만들어 먹었다. 여러분도 동짓날에 팥죽 먹고, 건강한 겨울나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