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타할아버지, 이번 선물은 친환경 포장지로 포장해주세요!
'크리스마스' 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분위기가 있다. 벽난로가 타닥타닥 타 들어 가는 따뜻하고 포근한 집 안, 트리 밑에 쌓인 형형색색의 선물들과 따뜻한 코코아 한 잔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아름다움 뒤에 감춰진 환경 보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봐야 할 것이 있다. 바로 포장지이다. 알록달록하고 반짝거리는 포장지로 포장된 선물을 받을 때는 내용물이 궁금해 심장이 두근두근 뛴다. 하지만 그 설렘도 잠시 뿐, 포장지를 벗겨내 우리에게 설렘을 줬던 그 포장지는 바로 쓰레기가 되어 환경을 오염 시킨 다는 것이다. 지난 2020년, 한국환경공단이 조사한 결과에 국내 포장재 중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율은 6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플라스틱은 500년이 지나도 썩지 않는다. 잠깐의 설렘을 위해 몇백 년의 시간을 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대안으로 나온 것이 바로 친환경 포장지이다. 지금부터 그것들을 소개해보겠다. 첫 번째는 '종이 뽁뽁이'이다. 친환경 종이 뽁뽁이는 벌집 모양으로 종이 재질이기 때문에 쉽게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비닐 뽁뽁이 보다 더 좋은 완충재 역할을 한다. 특히 공기 반발력으로 인해 제품에 손상이 생길 수 있지만, 종이 뽁뽁이는 공기 반발력이 없기 때문에 상품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해외 연구에 따르면 종이 뽁뽁이는 비닐 뽁뽁이보다 충격이 3분의 1정도 덜 받는다고 한다. 또 폭이 적어 보다 효율적으로 제품을 많이 담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는 '크라프트지' 이다. 이것은 표백, 화학 처리를 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종이류로 재활용에 용이하다. 세 번째는 해조류의 부산물로 만든 과일 포장지이다. 이 제품을 개발한 '마린 이노베이션' 에서는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고, 게 껍데기 등 갑각류에 함유 되어있는 성분을 활용해 만든 키토산 코팅액으로 포장 용기를 코팅해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환경오염을 예방했다. 또한 해조류의 부산물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원파괴를 막고, 결합 간격이 작고 강도가 우수한 해조류로 생산하여 과일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반할 수 있다. 크리스마스 뿐 만 아니라 명절 등 과일 선물이 많을 때 이 포장지를 쓰면 쓰레기를 훨씬 아낄 수 있을 것이다. 이 처럼 다양한 친환경 포장지가 선물을 기다리고 있다. 지구와 선물을 받는 이 모두에게 행복을 주는 친환경 포장지로 이번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는 건 어떨까? 1. http://www.coldchaininsight.com/news/articleView.html?idxno=537 2.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1433 3.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452631&memberNo=28671290&vType=VERTICAL 4. https://marineinv.com/kr_site/products/fruit.asp
-
미켈란젤로의 역작, 피에타
조각가 미켈란젤로를 최상의 반열에 오르게 한 <피에타>. 수 많은 피에타 중 최고로 평가받는다.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와 그의 작품 피에타에 대해서 알아보자.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조각가, 건축가, 화가, 시인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라파엘로 산치오와 함께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거장이라 불린다. 조각 대표작으로 <피에타> 와 <다비드>가 있다. <피에타> 피에타는 이탈리아어로 '자비를 베푸소서' 라는 뜻이다. 피에타는 성모 마리아가 죽은 예수 그리스도를 안고 있는 모습을 담은 조각이다. 마리아가 예수를 안고 있는 모습을 담은 그림과 조각을 피에타라고 부르고, 그 중 미켈란젤로의 피에타가 가장 유명하다. 피에타가 걸작이라 불리는 이유는 섬세한 감정표현과 뛰어난 신체 묘사이다. 이 작품을 앞에서 보면 예수가 아닌 성모 마리아가 주인공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작품을 위에서 보면 예수의 모습이 완벽하게 보인다. 미켈란젤로는 예수가 관람자의 시선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는 설에 "이 작품은 신에게 바치는 것이니 인간의 시선으로 평가하지 말라"고 응수하기도 했다. 이 작품이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성모 마리아가 매우 앳되게 보이는 점을 신기하게 여겼는데, 신학적으로 해석하면 인간은 나이들게 하는 것은 죄악이고 성모는 이 죄악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젊어 보이는 것이라고 한다. 또 이 작품은 다른 피에타들과 다르게 성모 마리아를 원래 비율보다 몇 배 크게 조각해 성모 마리아가 예수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게 했다고 한다. <피에타>와 관련된 일화 <피에타>에서 성모 마리아의 옷깃에는 MICHAEL·ANGELVS·BONAROTVS·FLORENT·FACIEBAT(피렌체의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가 만들었다.) 라고 적혀 있다. 이 작품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 사람들이 2류 조각가의 작품이라고 비난하자 미켈란젤로는 화가 나 밤에 몰래 성당에 들어가 자신의 이름을 새겨 넣었는데, 그가 성당을 나서는 길, 황홀한 풍경에 그는 조각에 이름을 새겨 넣었던 자신의 행동에 후회하면서 이후 그의 다른 작품들에는 서명을 새겨 넣지 않았다고 한다. 이로써 <피에타>는 미켈란젤로의 서명이 새겨진 유일한 작품이다. '피에타'를 보고 있으면 성모 마리아의 감정을 이해하려 노력하게 되고, 섬세한 표현에 감동하게 된다. 성모 마리아의 표정은 관객들로 하여금 이 조각을 계속 감상하게 한다. 또한 이런 엄청난 작품을 어떻게 인간이 만들었는지 놀라워진다. 미켈란젤로가 이 조각상을 신에게 바치려 했다는 말이 이해가 될 정도로 말이다. 여러분은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피에타' 를 보면 어떤 감정이 드는가? 앞으로 피에타를 감상할 때, 이러한 뒷배경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미켈란젤로의 역작 <피에타>는 이탈리아 로마의 성 베드로 성당에 보관되어 있다.
-
낮이 제일 짧고, 밤이 제일 긴, <동지>
동지는 24절기 가운데, 스물 두 번째 절기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고 한다. 동지는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북반구 기준으로, 태양이 가장 남쪽에 낮게 뜨는 날이다. '동지'는 예로부터 작은 설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한 날이었다. 이 날에는 다양한 풍습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동지첨지’와 ‘동지고사’다. '동지첨지'는 동지에 팥죽을 먹는 것을 일컫는 말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먹는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동지는 밤이 제일 길고 음기가 강하기 때문에, 귀신이 나오기 쉬운 날이라고 여겼다. 귀신을 막기 위해서는, 색이 붉어 양색이라고 여겨지는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집안 곳곳에 뿌리고 고사를 지냈는데, 이를 '동지고사'라고 한다. 동짓날에 먹는 음식으로는, '팥죽'과 '전약'이 있다. '팥죽'은 귀신을 쫒기 위해 집안 곳곳에 뿌리기도 하고. 조상에게 제사도 지내고, 가족끼리 나누어 먹는다. 팥죽에는 동글동글하게 빚은 새알심을 넣었는데, 이 때, 나이만큼 먹는다. '전약'은 요즘 가정에서는 잘 요리하지 않는 음식이다. 쇠가죽으로 만든 아교를 물에 녹이고, 씨를 뺀 대추, 마른 생강, 계피, 정향, 후추 등을 곱게 가루내어 꿀과 함께 넣고 푹 끓인 다음, 그릇에 담아 굳혀서 만드는 음식이다. 조선시대에는 내의원에서 만들어, 동지 절식으로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우리 조상들은 겨울철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서, 이런 음식들을 만들어 먹었다. 여러분도 동짓날에 팥죽 먹고, 건강한 겨울나기를 바란다.
오늘의 기사
-
1
Interview with Kim Yeon-Ha, 'Haegeum' Player in Jeong-Pyeong Middle School
-
2
산타할아버지, 이번 선물은 친환경 포장지로 포장해주세요!
-
3
미켈란젤로의 역작, 피에타
-
4
낮이 제일 짧고, 밤이 제일 긴, <동지>
-
5
학생들의 꿈과 능력을 키워주는 자율동아리
-
6
정평중 <주식투자동아리>를 소개합니다
-
7
정평중 <블루크로스 메디컬 사이언스>를 소개합니다
-
8
Resting Time, Jeongpyeongje!
-
9
모두가 하나 되는 정평제, 바로 여기에서 열리다!
-
10
우리 모두 불조심!